홈
태그
방명록
☆.시사관련 외/206.안드로메다 은하서
안드로메다 은하서 회전하는 ‘중성자별’ 첫 발견
블핵홀
2016. 4. 4. 19:15
[아하! 우주]
안드로메다 은하서 회전하는 ‘중성자별’ 첫 발견
음성 지원 옵션
을 선택해주세요.
속도조절 선택하기
선택된 속도
느림
선택된 속도
보통
선택된 속도
빠름
레이어 닫기
최종수정
2016-04-03 10:00
우리의 실종된 개념이 모두 모여있다는 그 곳,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처음으로 중성자별이 포착됐다.
최근 이탈리아 국립천문학연구소(
INAF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1.2초의 속도로 회전하는 중성자별을
발견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유럽우주국(
ESA
)의
XMM
-뉴턴(
XMM
-
Newton
)망원경을 동원해 찾아낸 이 중성자별은 은하 중심부 부근에 위치해
있으며 빠른 속도로 회전한다.
다소 낯선 이름의 중성자별(
neutron
star
)은 우주에 존재하는 천체 중 가장 고밀도다.
일반적으로 별은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며 찬란한 죽음을 맞이하는데 이때 별의 바깥 부분은 사방팔방으로 흩어지고
그 중심부는 중력으로 압축돼 중성자별이 되거나 혹은 블랙홀이 된다.
이 때문에 중성자별은 크기가 100㎞ 정도만 돼도 우리 태양보다 질량이 무겁다.
INAF
연구팀은
XMM
-뉴턴 망원경을 통해 오랜시간 안드로메다를 관측하면서 정기적으로 깜빡깜빡 빛나는 시그널을
확인했다. 곧 주기적으로 빠른 전파나 방사선을 방출하는 펄사(
Pulsars
)로 이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중성자별을 의미한다.
연구를 이끈 지안 루카 이스라엘 박사는 "지난 10년 간 우리 은하에서 중성자별을 발견한 적은 있지만 이웃한 안드로메다
에서 발견한 것은 처음"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이 중성자별은 우리 태양보다 질량이 조금 작은 별을 맞돌며 쌍성계를 이루고 있다"면서 "안드로메다 안에 더 많은
중성자별이 있는지는 확신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M31’로도 불리는 안드로메다 은하는 나선팔 구조를 가진 모습이 우리 은하와 거의 비슷하지만 질량은 2배 이상이다.
우리은하와 이웃한 은하에 속하지만 그 거리만 무려 250만 광년.
그러나 맑은 날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맨 눈으로도 뿌옇게 보일 만큼 우리에게 친숙하기도 하다.
최소 1억 개 부터 1조 개 까지 정확한 별의 숫자도 모를 만큼 연구할 것이 많은 안드로메다 은하는 영겁의 시간이 지나면
흥미롭게도 우리 곁으로 다가온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현재 두 은하당 시간당 40만
km
속도로 접근하고 있는 중이다.
결과적으로 37억 년 정도 후면 두 은하가 충돌하고 65억 년 뒤면 완전히 합체해 거대한 타원은하가 된다.
천문학자들이 태어나지도 않은 이 은하에 붙여놓은 이름은 두 은하의 이름을 합친
‘밀코메다‘(
Milkomeda
)다
.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우리는 어떤 존재인가?
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