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와 너무 닮은 '엡실론 에리다니' [스페이스]태양계와 너무 닮은 '엡실론 에리다니' 최종수정 2017-05-03 13:13 소행성대와 카이퍼 벨트 등 비슷한 구조로 돼 있어 ▲'엡실론 에리다니' 별을 중심으로 안쪽 소행성 벨트가 있고 목성 질량의 행성이 공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사진제공=NASA] 저건너 저편에서 우리를 보고있.. 최근시사 등 Ⅰ/14.태양계와 너무 닮은 '엡실론 에리 2017.05.05
39광년 떨어진 또 다른 태양계 발견 39광년 떨어진 또 다른 태양계 발견 입력 2017.02.23 03:03 댓글 43개 자동요약 14세기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는 지동설(地動說)을 제창한 코페르니쿠스는 "지구는 특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후 천문학자들은 그의 이름을 딴 '코페르니쿠스의 원리'에 입각해 우리 은하 안에는 태양 같.. 최근시사 등 Ⅰ/7.39광년 떨어진 또 다른 태양계 2017.02.23
[아하! 우주] 당신은 지금 ‘초속 600km’로 우주를 달리고 있습니다 [아하! 우주] 당신은 지금 ‘초속 600km’로 우주를 달리고 있습니다 기사입력 2015-03-10 06:16 정보 --> 태양계 실제 움직임, 우리는 이 순간에도 우주 속을 무서운 속도로 달리고 있다 (Vortex운동이라하며 우리가 그림으로 보는 원 운동이 아니라 회오리 같은 회전 운동입니다) -우주에는 '제자.. Ⅸ.상대성 이론 등 물리 이론/46.당신은 지금 초속 600km로 2016.04.09
태양계 9번째 행성 존재 증거 발견 美과학자들 "태양계 9번째 행성 존재 증거 발견" 주장 정보 -->기사입력 2016-01-21 03:30 정보 --> 태양계 9번째 행성 '행성 X' 실제 존재?(AP=연합뉴스) 마이클 E. 브라운 박사 "명왕성 바깥에 거대 행성 있다" 미국 과학자들이 한때 태양계 행성으로 분류된 명왕성 너머에 새로운 9번째 행성이 존재.. ☆.시사관련 외/196.태양계 9번째 행성 존재 증거발 2016.01.28
NASA, "우리태양계 물있는 천체 9곳" ○NASA, "우리태양계 물있는 천체 9곳"전자신문 | 입력 2015.04.14 00:16 | 수정 2015.04.14 07:32 "목성의 달 가니메데 · 칼리스토, 토성의 달 타이탄 · 미마스 · 유로파 · 엔셀라두스,해왕성의 달 트리톤, 왜소행성 세레스와 명왕성." 美항공우주국(NASA· 나사)이 11일 우리태양계 곳곳에 물과 바.. Ⅳ.우리태양계 및 태양계 /42.NASA,우리태양계 물있는 천체 9곳 2015.04.14
우리가 미처 모르는 태양계 ‘태양왕조 실록’ ○[아하! 우주] 우리가 미처 모르는 태양계 ‘태양왕조 실록’ | 최종수정 2015-02-25 11:12 태양계 상상도 수천 년 전 고대인들은 밤하늘에서 반짝이는 별들을 지켜보며, 이들 천체 중 밝은 다섯 개의 별들(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이 매일 위치를 바꾸며 움직이고 있음을 알아냈다. 그래.. Ⅳ.우리태양계 및 태양계 /39.태양계 ‘태양왕조 실록' 2015.02.26
빛으로 17시간 날았다, 아직도 태양계다 [토요판] 별 / 카이퍼벨트와 오르트구름대 ▶ 과학자들은 태양계 주위를 도는 행성들 너머의 공간을 탐사하고 있습니다. '태양계의 끝'이라 여겨졌던 명왕성은 행성 지위를 박탈당했고, 과학자들 사이에선 명왕성만한 수많은 왜소행성들이 하나둘 떠오르고 있습니다. 태양은 자신의 빛이.. Ⅳ.우리태양계 및 태양계 /37.빛으로 17시간 , 아직도 태양계 2015.02.07
제2부 태양, 태양계의 원리를 찾아서 제2부 태양, 태양계의 원리를 찾아서:EBS U-tube 바로가기> https://youtu.be/uKK9AW4OMLA ★.Ⅰ.우리는 어떤존재인가/16.2부 태양계의 원리를 찾아 2015.01.11
태양계 밖에서 찾은 첫 외행성 달? 태양계 밖에서 찾은 첫 외행성 달? 우리은하계에서 한 쌍의 재미있는 물체가 발견됐다. 이 가운데 하나는 행성으로 생각되어지며 다른 하나는 달로 보인다. 이는 우리 태양계 밖에서 발견된 최초의 달(exomoon)로 여겨지고 있다. 美항공우주국(NASA·나사)는 11일 나사의 지원을 받은 국제과.. Ⅳ.우리태양계 및 태양계 /29.태양계 밖에서 찾은 첫 외행성 달 2014.04.16
태양계 범위가 커졌다 ○"태양계 범위가 커졌다" 120억km 거리 왜소행성 발견 왜소행성 '2012 VP113' (노란색 화살표로 표시된 곳) (AP=연합뉴스) 혜성 발원지 '오르트 구름' 추정…거대행성 존재 가능성도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임화섭 특파원 = 태양에 가장 가까이 다가왔을 때도 거리가 자그마치 120억 km나 되는 .. Ⅳ.우리태양계 및 태양계 /28.태양계 범위가 커졌다 2014.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