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태그
방명록
최근시사 등 Ⅰ/52.지구 2배 만한 외계행성 발견
지구 2배 만한 외계행성 발견
블핵홀
2018. 10. 21. 08:31
[아하! 우주]
지구 2배 만한 외계행성 발견…대학원생이 찾았다
기사입력
2018-09-11 14:17
사진설명=좌측부터 지구,
Wolf
503b, 해왕성
태양계 밖에 위치한 지구보다 2배 정도 큰 외계행성이 새롭게 발견됐다.
최근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과 미국, 독일 공동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145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외계행성을 발견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
미 항공우주국(
NASA
)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체가 드러난
외계행성의 이름은 '
Wolf
503b'.
처녀자리에 위치한
Wolf
503b는 지구보다 2배 이상 크지만 놀랍게도 태양보다 온도가 낮고 차가운 오렌지색 왜성
주위를 단 6일 만에 돈다.
이 정도 거리면 태양과 수성사이의 거리보다 10배 이상은 가까운 셈.
행성의 크기로만 보면 슈퍼지구의 조건에는 맞지만 항성에 딱 붙어있기 때문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은 되지 못한다.
국제 공동연구팀은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행성찾기 프로그램을 가동해 ‘트랜싯’(
transit
) 현상을 찾아
냈다. 일반적으로 행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기 때문에 주위 별 빛으로 그 존재가 확인된다.
행
성이 항성 앞을 지나가는
경우 잠시 빛이 잠식되는 현상이 발견되는데 이같은 현상을 트랜싯이라 부른다.
특히 이번 발견이 관심을 끄는 이유는 일등공신이 바로 몬트리올 대학 대학원생인 메린 피터슨이라는 사실로 이번 논문의
제 1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부터 이 대학에서 석사과정을 밟고있는 피터슨은 "이렇게 빨리 새로운 외계행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치
못했다"면서 "연구성과에 오싹한 기분이 들 정도였으며 이번 논문은 지도교수와 팀으로서 연구한 여러 과학자들 덕"
이라고 밝혔다.
피터슨의 지도교수인 비요른 베네케 박사는 "
Wolf
503b는 지구와 같은 바위형 행성이거나 가스형인 작은 해왕성일
수도 있다"면서 "
Wolf
503b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최종 확인은 차후 발사되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하게될 것"
이라고 말했다.
허블우주망원경의 후계자인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JWST
·
James
Webb
Space
Telescope
)은 역사상 가장 비싸고
강력한 우주 망원경으로 현재는 2021년 이후로 발사가 연기된 상황이다.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우리는 어떤 존재인가?
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