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홀 실제형태 공개
사상의 지평선 혹은 사건의 지평선으로 불리는 이벤트 호라이즌(Event Horizon)을 통해 추정한 블랙홀의 형태가
최초로 공개됐다고 스페이스닷컴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랙홀은 항성 진화의 최종 단계로, 한없이 수축하여 그 중심부 밀도가 빛을 빨아들일 만큼 매우 높아질 때 생성되는
중력장의 구멍이다.
따라서 블랙홀을 실제로 볼 수는 없지만, 탈출속도가 빛의 속도가 되는 블랙홀과 우주의 경계인 사상의 지평선을 통해
블랙홀의 존재를 알 수 있다고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은 설명한다.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 프로젝트의 초기 자료를 분석해 만든 최초의 블랙홀 이미지를 공개했다.
공개된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상상할 수 있는 둥근 방울 모양보다는 밤하늘에 보이는 초승달의 모습과 흡사하다
이 형태는 아직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완벽한 형상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단지 천문학적인 추측만을
나타낸 것은 아니라고 한다.
연구를 이끈 아이만 빈 캠루딘은 “블랙홀과 맞닿은 주변부는 빛을 방출하는 데 실제 물리학적인 연구가 진행될수록 더
많은 관심을 끈다.”면서 “기술적으로 말하면 블랙홀을 정확히 볼 수는 없지만 사상의 지평선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분석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제이슨 덱스터 UC 버클리 교수는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 프로젝트는 블랙홀 사상의 지평선 크기
와 비교한 공간 비율을 처음으로 분석한 것”이라면서 “앞으로 5년 안에는 (완벽한) 이미지 한 장을 얻게 되리라고 확신
한다.”고 말했다.
현재 연구진은 우리 은하 중심에 있는 궁수자리 A*라는 블랙홀의 형태를 분석하고 있다. 다양한 자료가 더해지면서
기존 형태보다는 초승달에 가까운 이미지로 추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