Ⅹ.종교관련 시사 등/56.신도 수 뚝뚝.. 개신교계 긴장

신도 수 뚝뚝.. 개신교계 긴장

블핵홀 2013. 9. 13. 07:34

 

신도 수 뚝뚝.. 개신교계 긴장

예장통합 “4만명 감소” 교세 위축 본격화 우려 서울신문 | 입력 2013.09.13 05:07

[서울신문]국내 대부분의 개신교 교단에서 신도들이 급속히 줄고 있어 개신교계가 잔뜩 긴장하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이달 교단 총회에 앞서 각 교단이 제출한 통계보고서를 통해 확인된 것으로 개신교가 본격적으로 위축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12일 개신교계에 따르면 총회에 앞서 각 교단이 낸 통계보고서에서 대부분 교인 수가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예장통합 총회 통계위원회 보고에 따르면 전체 교인 수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년 대비 4만 1596명 감소했다. 예장통합은 지난해 9월 총회에서 처음으로 교인 수 감소(전년도 대비 186명) 사실을 보고해 개신교계를 놀라게 한 바 있다. 특정 교단이 신도 수 감소 통계를 발표한 첫 사례였다. 기성은 지난해 총회 때 신도 수가 1만여명 늘어났다고 보고한 것과는 달리 올해 총회를 앞두고는 지난해 57만여명에서 55만 442명으로 2만여명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기장도 전체 교인 수를 전년보다 8201명 줄어든 29만 7752명으로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교인 감소 사실은 국내 종교인구 감소 추세에도 개신교 인구는 오히려 소폭 증가했다고 발표한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한목협)의 분석 결과와는 사뭇 다른 것이다. 한목협이 전국 성인 남녀 51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지난 1월 신년기도회에서 밝힌 '2012 한국인의 종교생활과 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종교인구 비율은 55.1%로 2004년(57%)에 비해 1.9% 포인트 감소했지만 개신교 인구는 2004년 21.6%에서 지난해 22.5%로 0.9%포인트 늘었다.

개신교계는 이 같은 신도 수 감소의 원인으로 대부분 개신교 연합기관의 금권선거와 분열, 성장주의에 매몰된 대형교회와 목회자들의 잇단 일탈을 꼽고 있다. 실제로 한목협이 지난 5월 발표한 '한국기독교 분석 리포트'에서도 교회에 나가지 않는 기독교인의 불출석 이유로 '목회자들에 대한 좋지 않은 이미지'(19.6%), '교인들이 배타적이고 이기적이어서'(17.7%), '헌금을 강조해서'(17.6%) 등의 응답이 많았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