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러 행성계의 모습을 그린 이미지.[사진제공=NASA]
나사 "가능성은 열려 있지만 여전히 후보군"
제2의 지구는 있을까. 무한히 확장되고 있는 우주를 탐험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인간의
'제2의 지구 찾기' 도전은 계속되고 있다. 최근 발견된 케플러296f 행성이 지구와 비슷한 환경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 2의 지구 찾기' 임무를 가진 나사의 케플러위성이 26일(현지시간) 715개의 새로운 행성을 발견했다고
미항공우주국(NASA)이 밝혔다. 우리 태양계와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행성 중 약 95%는 혜왕성보다는 작고 지구보다는 4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나사의 존 그룬스펠드
박사는 "케플러위성은 우리에게 놀라운 사실들을 계속 보여주고 있다"며 "새로운 세계를 찾기 위해 우리가 준비 중인
제임스웹우주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미래를 예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별의 탄생,
블랙홀의 존재, 지구 밖의 새로운 생명체 탐사 등 우주의 미스터리를 풀기 위해 2018년 발사된다.
특히 새로운 행성들 중 4개는 지구 크기와 비슷하고 물의 존재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인간이 살 수 있는 '제2의 지구'가
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4개의 행성은 지구의 2.5배 크기에 그들만의 태양주변을 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온도는
물이 흐르기에 적당한 온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중 '케플러 296f'로 이름 붙여진 행성은 우리 태양 크기의 반 정도에 5% 정도의 빛을 내는 '그들만의 태양' 주변을
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케플러 296f의 행성은 지구의 두 배 보다 조금 작은 크기이다. 하지만 아직 과학자들은
이 행성에 수소-헬륨 가스층이 있는지, 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케플러 위성은 그동안 수천개의 지구와 비슷한 후보 행성을 탐사하면서 여러 자료를 전송해 왔다. 그러나 지구와 비슷
하다는 것만 알려졌을 뿐 어디까지나 후보군에 불과하다. 인간이 살 수 있느냐의 문제는 여전히 탐구 대상이다.
2009년 3월 발사된 케플러위성은 그동안 3600개 이상의 후보 행성을 찾아낸 바 있다.
○달 거대 운석 충돌, 어마한 속도로 "북극성처럼 빛나"…"우주에 무슨일이?"

달 거대 운석 충돌 / 사진=왕립천문학회 월간 보고(MNRAS)
달 표면에서 거대한 운석이 충돌하는 생생한 순간이 포착돼 네티즌들의 눈길을 모으고 있습니다.
스페인 에스파냐 인근 우엘바 지역의 한 대학의 천문학자들은 달의 표면에 운석이 부딪히는 순간을 촬영했습니다.
이 기록물을 25일(현지시간) '왕립천문학회 월간 보고(MNRAS)' 최신호에 발표해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았으며
기록물에 따르면 운석은 지난해 9월 11일 저녁 8시 7분(현지시간) 달에 시속 17000 마일의 속도로 충돌했다고 알려져
놀라움을 자아냈습니다.
당시 충돌 장면을 관찰한 호세 마리아 메디에도 교수는 "초 거대 운석이 빠른 속도로 충돌해, 북극성처럼 밝게 빛났다"
면서 "1.4m 가량의 직경에 무게 0.4t 가량의 운석으로, TNT 15t에 달하는 충격을 줬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어 메디에도 교수는 "이 충격으로 달 표면에 직경 40m의 분화구가 형성됐다"고 덧붙여 놀라움을 더했습니다.
한편, '달 거대 운석 충돌'에 대해 네티즌들은 "달 거대 운석 충돌, 분화구 엄청 크네" "달 거대 운석 충돌,
우주에 무슨일이지?" "달 거대 운석 충돌, 달 표면에 분화구가 형성됐다니. 충격적이네!"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