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우리는 어떤존재인가/2.용어정리

용어정리 3

블핵홀 2011. 6. 16. 02:38

 

간단한 용어정리를 여기서 우선 보고, 나머지는 바로 밑 카테고리 (3.우주를 공부하기에 앞서)등을 참조.

항성(恒星) : 태양과같이 스스로 빛을 내며,행성을 거느리고 있다.
                  스스로 핵융합을 일으키며 은하계의 중심을 축으로 돌고있다.
행성(行星) :수성,금성,지구,화성,… 같이 항성주위를 도는 별.
위성(衛星) :행성의 인력에 의하여 행성 주위를 도는천체
지구의위성은 달이 하나 있으며, 화성에는 2개
목성에는 16개, 토성에는 46개, 천왕성에는 5개, 해왕성에는 2개, 명왕성에는 1개가 있어 
태양계에는  모두 70여개의 위성이 있다.

혜성(彗星) : 가스 상태의 빛나는 꼬리를 끌고 태양을 초점으로 타원이나 포물선에 가까운 궤도를 그리며 운행하는 천체. , 코마, 꼬리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정한 궤도를 가지고 있지않고,갑자기 나타나기도 한다.

 

유성(流星) : 우리가 흔히 보는 별똥 또는 별똥별이라고도 하며,지구 대기권으로 빠른속도로 돌입하여 밝은 빛줄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밤하늘의 별이라고 하는 것은 이것 전부를 말하는 것이고,원래 별(STAR)이라고 하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항성(恒星)만을 말한다. 우리 지구는 항성(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이다.

 

샛별 : 우리가 주로 새벽에 보는 반짝이는 별. 금성이다.

 

지구에서 태양까지의거리: 1AU( Astronomical unit )
태양까지거리
(약 150백만Km)
300,000Km X 499초 =149,700,000Km
빛의속도로 태양에서 지구까지 오는데 걸리는 시간 :(8분19초 = 499초)
빛의속도:1초에 300,000Km

(지구 일곱바퀴반)

 

1광초, 1광분,1광시, 1광년

1광초 는 빛이 1초동안 가는 거리를 말합니다 (30만 km)

1초에 지구 23개를 일렬로 세운것만한 거리를 돌파하죠

1광분 은 빛이 1분동안 가는 거리를 말합니다 (1800만 km)

 

  마찬가지로 1광일, 1광월 등이 있고요

우리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1광년 이라는 단위가 있습니다

1광년 은 빛이 1년동안 가는 거리, 곧 9조 5400억km 지요

광년은 우주 전체 스케일에서 많이 쓰이는 단위랍니다

 

 

1AU ( Astronomical unit )

 1AU 란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를 말한답니다

약 1억 5천만 km 지요

태양계 안에선 많이 쓰는 단위랍니다

하지만 우주 내에서는 이 단위마저 작은 단위에 속하지요

1파섹 ( Parsec )

 1파섹 이란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인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Centauri α :우리태양계와 가장 가까운 태양계)

태양사이의 거리를 나타냅니다

1파섹은 3.26광년이고, 206300 AU 입니다

1메가 XX (1 Mega)

메가라는 단위는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는 아니지만

100만을 나타내는 보조단위에요

예를들자면 1메가파섹은 100만파섹을 나타내지요

비슷한 예로 1메가볼트는 100만볼트를 나타내는거구요

숫자단위

일,십,백,천,만,억,경,해,자,양,구,간,정,재,극,항아사,아승기,나유타,불가사의,무량대수,겁,업,구골,아산키야,센틸리아,에이머오스,....큐머드R(0이 210개),...플렉시안(1뒤에 0이 1조개)

{겁,구골 등은  실제 과학적 단위로는 잘 안쓰이고,주로 종교적 숫자 단위로 쓰임:ex:영겁의 세월...  , 구골(Googol):10의 100제곱,1뒤에 0이 100개 붙은 수}.

 

골디락스 존:(goldiloks zone)
항성으로 부터 적정한 거리에 있으면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지역.

우리태양계의 골디락스 존 : 지구,화성,금성(금성은 너무 뜨거움.)

 

천동설 : 16세기까지 만해도 천동설이 대세를 이루었다.
(천동설:당시 기독교의 진리:지구가 천체의 중심이고,지구를 중심으로  
 태양이뜨고…. 지구외 모든 천체는 지구를 중심으로 돈다는 설.) 
지동설(16세기) : 폴란드 과학자 코페르니쿠스 →이때까지만해도  
우주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없었고
태양,지구 기타 다른 천체 정도로 생각했다.
망원경 발명 → 갈릴레오에의해 더 명확히 밝혀짐. 
아메리카대륙발견 :1494.6.12. (콜롬버스)
아메리카대륙발견 이전까지만해도 지구는 네모나고
지구끝에가면 큰 낭떨어지 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대세였다.
대륙발견으로 인해 우주(천체)가 지구중심이 아니고 태양중심이라는 것

(지동설)으로 자리잡아갔다…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안지도 불과 얼마되지않았다.그이전에는 모든것을
지구 중심으로 생각하였다.
과학은 종교의 위협이되었다.  
그 당시 지구가 둥글고 지동설을 주장하면 구속되었다. (종교권력에 의해)
:종교의 진리에 위배된다는 것이다.

요즈음은 '지구가 둥글고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돌고 있다(지동설)'는데 이견을 다는 사람은 없다.  과학이 워낙발전해서 종교가 위협을 느끼니까 타협을 모색한다…

 

 

블랙홀:우주에는  3천만개 이상의 블랙홀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대부분의 은하계 중심부에도 블랙홀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블랙홀은 엄청난 힘으로 해성들을 빨아들이며, 그 과정에서 해성은 
산산조각 나 형체가 완전히 분해된다.

태양보다 더 큰 행성, 즉 아무리 큰 행성도  이를 피할 방법은 없다.

 

태양 백만배 질량 ‘괴물’ 쌍둥이 블랙홀 발견

지구로부터 약 4억2천500만 광년 떨어진 사자자리 부근의 `마카리 안 739' 은하(NGC 3758) 중심부

에서 두 개의 거대한 블랙홀이 맹렬히 활동 중인 것 으로 최근 연구에서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보도했다

미국 과학자들은 미항공우주국(NASA)의 스위프트 위성과 챈드라 X-선 망원경을 이용, 한 개의 블랙홀 존재만 알려졌던

 NGC 3758의 중심부에서 활동은하핵(AGN) 2개 를 발견했다고 천체

물리학 저널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우리은하를 비롯한 대부분의 거대 은하 중심부에는 질량이 태양의 100만배쯤 되는 초거대 블랙홀이 있고

이 중 일부는 태양보다 수십억배 많은 에너지를 방출한다"고 AGN의 존재를 설명했다

 

■초거대 블랙홀 3천만개 존재한다

 

나사의 과학자들은 이 사실로 추정해 볼 때 적어도 3천만개의 초거대 블랙홀이 이 초기 우주에 존재 한다는 것을

계산을 통해 알아 냈다. 이는 초기 우주의 ‘퀘이사(quasar 준성 準星)’가 우리 생각한 것보다 1만배나 많이 존재한다는 의미다.  

▲ 미항공우주국 과학자들이 찬드라위성을 통해 빅뱅 초기의 우주에서 생성된 200개의 블랙홀을

찾아냈다.<사진=NASA>


케빈 쇼윈스키 예일대 교수는 “우리가 아주 새로운 베이비 블랙홀을 찾아낸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초신성(超新星) : 항성의 진화 중 마지막 단계에 이른 별이 폭발하며 에너지를 순간적으로 방출한 뒤 서서히 낮아

지는 현상을 말한다. 새로운 별이 생겼다가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초신성의

중심에는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이 형성되며 별의 진화와 우주 형성과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로버트 큄비 박사팀은 지금까지 알려진 초신성이 빛을 내는 원리와 전혀 다른 새로운

종류의 초신성을 발견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해 관측한 것으로 ‘SCP 06F6’

이라는 초신성이다. SCP 06F6은 기존에 발견된 초신성들에 비해 10배 이상 밝으며 짙은 푸른색을 띤다.


SCP 06F6의 빛이 다른 초신성과 다른 점은 크게 두 가지다. 대부분의 초신성이 수소로 이뤄진 것과 달리

SCP 06F6에서는 수소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 상당한 양의 자외선을 방출하는데 약 50일간 이 푸른빛이

유지된다. 대부분의 초신성 빛을 잃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훨씬 길다. 큄비 박사는 “다른 초신성들과 달리

방사성 물질이 붕괴돼 빛을 내는 것이 아니라 전혀 다른 방식으로 빛을 내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우주의 탄생 : 138(137억년 → 138억년)억년전

우주의 길이 : 138억 광년 (광년은 길이의 단위임)

 

은하(Galaxy) : 우주를 구성하는 과 성간물질(星間物質)로 이루어진 수천억 개의 계 가운데 하나.

형태에 따라 타원은하, 정상 나선은하, 막대 나선 은하, 불규칙 은하로 구분.

우리은하계는 정상나선은하이다.

 

은하수(銀河水):은하수 [Milky Way (mythology)]  

‘은하’를 강(江)에 비유하여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은하단 : 은하들이 중력에 의해 소규모 또는 거대한 집단으로 서로 모여 있는 무리.

 

안드로메다 : 우리 은하계에서 가장 가까운 은하 220만광년 떨어져 있음.

알파 켄타우르 : 우리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태양계 4광년 정도 떨어져 있음.

 

원소 :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성분(종류)

수소와 헬륨은 빅뱅에서 만들어졌다. 

헬륨에서 철까지의 원소는 별의 핵융합으로

만들어졌다. <출처: NASA>

현재, 최근 밝혀낸 원소 2개를 포함해서 118개의 원소가 있다.

 

원자 :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입자(수)

사람의 원자갯수 10의 28성(1간개) 종류는 수소,산소,탄소등 몇 종류 않됨.

 

주기율표(periodic table, 週期律表): 원소를 구분하기 쉽게 성질에 따라 배열한 표로, 러시아멘델레예프가 처음 제안했다. 

 

물질과 반물질

보통 물질에서의 전자·양성자·중성자 등의 질량을 가지면서 전하의 부호는 반대인 소립자들로 구성된 원자들이 이루는 물질.
물질과 반물질은 큰 에너지를 방출하고 쌍소멸되기 때문에 가까운 거리에서 수분의 1초 이상 공존할 수 없다. 멀리 떨어진 어떤 은하계는 완전히 반물질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되기도 했다.

반물질의 개념은 양전하와 음전하의 이원성을 분석하면서 처음으로 생겨났다.

 

빅립:우주가 최대로 부풀어서 터져 날아가 버리는 현상. 220억년 후.

 

빅크런치:우주가 원래의 점으로 수축되는 현상

 

가시광선 :빛이 프리짐을 통과하여 무지개색으로 눈에 보이는 색: 빨,주,노,초,파,남,보(파장 : 400~800 나노미터)

 태양1,000조개정도의 효력:지구는 타버린다.

: 큰 행성이 블랙홀에 빠져 들어갈때 행성 내부의 에너지가 폭발하면서
생긴다. 1,000광년 떨어진 곳에서 생겨도 지구에 영향을 미친다.→ 
→ 이때 초신성도 생긴다.
(빛:가시광선,감마선,엑스선,자외선,적외선,라듸오파,마이크로파 등이 있는데,우리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가시광선 밖에 없다.

다른 빛으로 물체를 보면 지금과 완전히 다른 모양으로 보인다.)

적외선:가시광선의 적색 밖에 있는 빛(파장:800나노미터 초과)→빛의 파장이 너무 길어서 우리눈에 안보임.

자외선:가시광선의 자색(보라색) 밖에 있는 빛(파장:400나노미터 미만,실제는 380나노미터 이하)→빛의 파장이 너무 짧아서 우리 눈에 안보임.

 

생명체에 필요한 유기분자,원소 : 탄소 +산소 +수소+질소 +황산 +아미노산 > 핵융합에 의한 화학적결합 으로 생명체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