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 12

NASA "생명존재 가능성 외계지구 1천284개 더 찾았다"(종합)

○NASA "생명존재 가능성 외계지구 1천284개 더 찾았다"(종합) 음성 지원 옵션을 선택해주세요. 속도조절 선택하기 선택된 속도느림 선택된 속도보통 선택된 속도빠름 레이어 닫기 정보 -->기사입력 2016-05-11 03:54 정보 --> 기사원문 17 4 NASA가 공개한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개념도 (AP=연합뉴스 ..

39광년 떨어진 곳에서 지구 크기 '삼형제' 발견

39광년 떨어진 곳에서 지구 크기 '삼형제' 발견 영문 뉴스 음성지원 서비스 듣기 본문듣기 음성 지원 옵션을 선택해주세요. 속도조절 선택하기 선택된 속도느림 선택된 속도보통 선택된 속도빠름 레이어 닫기 정보 -->기사입력 2016-05-03 00:00 정보 --> 왜성을 돌고 있는 행성의 모습을 표현한..

태양계 9번째 행성 존재 증거 발견

美과학자들 "태양계 9번째 행성 존재 증거 발견" 주장 정보 -->기사입력 2016-01-21 03:30 정보 --> 태양계 9번째 행성 '행성 X' 실제 존재?(AP=연합뉴스) 마이클 E. 브라운 박사 "명왕성 바깥에 거대 행성 있다" 미국 과학자들이 한때 태양계 행성으로 분류된 명왕성 너머에 새로운 9번째 행성이 존재..

지구 닮은 외계행성 찾았다

지구 닮은 외계행성 찾았다 "생명체 존재 가능성 97%"한국일보 | 임소형 | 입력 2015.01.07 03:20 미국 연구진 "지구에서 1100광년"… 총8개 '골디락스' 발표 적색왜성(오른쪽 위) 주위를 돌고 있는 지구 닮은 행성의 상상도. 미국 연구진이 이런 행성 중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가능성이 97%로 추정되..

NASA "지구크기 물있는 행성 첫 발견

NASA "지구크기 물있는 행성 첫 발견" 지구같은 크기에 물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사람이 살 만한 행성이 처음 발견됐다. 美항공우주국(NASA·나사)은 17일(현지시간) 지구로부터 500광년 떨어져 있는 우리은하계 백조좌의 M왜성(난장이별) 케플러-186에서 이같은 행성을 찾았다고 발표..

“외계생명체 살 만한 행성 200억개”

○“외계생명체 살 만한 행성 200억개” '태양계에는 약 200억개나 되는 지구크기의 별이 있다. 연구팀은 태양계 밖에서 태양과 비슷한 4만2천개의 별을 살펴 본 결과 지구와 같은 603개의 새로운 행성 후보를 찾아냈다. 이 가운데에는 골디락스로 여겨지는 10개의 행성이 포함돼 있다...' 美..

나사, 지구와 비슷한 생명체 존재 가능 행성 공개

나사, 지구와 비슷한 생명체 존재 가능 행성 공개뉴시스 | 유세진 | 입력 2013.11.05 15:43 【AP/뉴시스】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EB%AF%B8%EA%B5%AD%20%ED%95%AD%EA%B3%B5%EC%9A%B0%EC%A3%BC%EA%B5%AD&nil_profile=newskwd&nil_id=v20131105154309848" target=new>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지구에서 2700광..

NASA "지구 크기 바위행성 첫 발견"

○NASA "지구 크기 바위행성 첫 발견" 우주과학자들이 우리 태양계 밖에서 지구와 크기 및 질량이 유사한 바위 행성을 최초로 찾아냈다. 美항공우주국(NASA·나사)는 30일(현지시간) 하와이대와 제네바 연구팀이 이같은 특징을 지닌 케플러78-b로 명명된 태양계외 행성을 처음 발견했다고 발..

미지의 외계 행성 사진 최초 공개

미지의 외계 행성 사진 최초 공개 천문학자들이 지구 인근 항성 주변에 형성 중이던 외계 행성을 거의 최초로 직접 사진으로 포착했다. 거대한 우주 행성 탄생을 포착한 이 사진은 칠레에 위치한 유럽 남방천문대의 초거대망원경으로 찍었다고 한다. 사진의 행성은 희미한 물방울 형체로..

"외계 행성 탄생’ 최초 포착…미스터리 풀릴까?

"외계 행성 탄생’ 최초 포착…미스터리 풀릴까? 세계 최초로 행성의 탄생을 포착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이언스데일리 등 전문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천문학자들은 거대한 행성의 탄생 모습을 최초로 포착했으며 이것이 학계에서 인정을 받을 경우 우리 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