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특한 분출형 나선은하 발견 시민과 천문학자, 독특한 분출형 나선은하 발견 정보 --> 인터넷웹 통해 시민들이 분류한 70만 개 은하 정보 바탕으로 미 천문연구진, 광학-전파 관측 종합해 찾아.."나선 용" 별칭 아마추어 천문인들이 참여하는 시민참여형 천문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독특하고도 희귀한 유형의 은하가 발.. Ⅲ.우리은하계 및 은하계 /80.독특한 분출형 나선은하 발견 2014.12.06
사우론의 눈’으로 본 은하까지의 거리 (네이처紙) ‘사우론의 눈’으로 본 은하까지의 거리 (네이처紙) 봄철 북쪽하늘에서 볼 수 있는 사냥개자리 방향의 은하 NGC 4151. 그 중심에 있는 거대 블랙홀을 휘감고 있는 ‘링’ 모양이 영화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사우론의 눈’과 매우 흡사해 그와 같은 이름으로 불린다. 기존에 추정된 거.. Ⅲ.우리은하계 및 은하계 /79.사우론의 눈’으로 본 은하 2014.12.02
태양보다 무려 100억배…슈퍼 ‘블랙홀’ 포착 태양보다 무려 100억배…슈퍼 ‘블랙홀’ 포착 역대 발견된 블랙홀 중 가장 큰 규모에 속하는 초질량 블랙홀의 후보가 공개돼 관심을 끌고있다. 최근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는 지구로부터 39억 광년 떨어진 RX J1532이라 불리는 은하단 중심부에 위치한 초질량 블랙홀의 모습을 공개했다. .. Ⅲ.우리은하계 및 은하계 /78.태양보다 100억배,블랙홀 발견 2014.11.22
90만년의 설렘…별이 태어나다 90만년의 설렘…별이 태어나다 정보 --> ▲뱀주인자리. 별이 탄생하는데 90만년의 기다림이 필요했다.[사진제공=NASA] 연구팀, 별이 만들어지기까지 오랜 시간 필요 90만년의 설렘. 별이 빛을 발한다. 기다림을 아는 별. 은하계에 항성계가 태어나는 것은 긴 기다림의 결과라는 사실이 드러났.. Ⅲ.우리은하계 및 은하계 /70.90만년의 설렘…별이 태어나다 2014.11.18
[천자칼럼] 블랙홀과 웜홀 ○[천자칼럼] 블랙홀과 웜홀 부귀영화를 다 누리다 깨어보니 한낱 꿈이더라는 일장춘몽 설화는 어디에나 있다. 미지의 세계로 들어갔다가 하룻밤 지내고 돌아왔더니 몇십 년이 흘렀더라는 시간여행 전설도 많다. 동굴에서 포도주를 마시고 잠든 새 20년이 지났더라는 독일민담과 이를 패.. Ⅲ.우리은하계 및 은하계 /71.블랙홀과 웜홀 2014.11.18
은하바깥에도 우리가 몰랐던 무수한 떠돌이 별들이 "은하바깥에도 우리가 몰랐던 무수한 떠돌이 별들이..." 정보 --> 미국과 한국·일본 공동 연구팀, 사이언스 논문 원시은하 관측연구하다 뜻밖에 새 발견 일궈내 ---------------------------------------------------------------------- "우주 적외선 배경복사, 은하 바깥 항성들에서도 비롯" 흔히 천체의 단위.. Ⅲ.우리은하계 및 은하계 /69.은하바깥에도 몰랐던 무수한 항성 2014.11.07
허블로 본 은하 옆모습 외 ○한줄기 선명한 빛…허블로 본 은하 옆모습 정보 --> 은하 NGC 4762 한줄기 선명한 빛을 발하는 한 은하의 옆모습이 허블 우주망원경에 포착됐다. 나사(NASA, 미국항공우주국)는 3일 에사(ESA, 유럽우주기구)와 함께 운영하고 있는 허블 우주망원경이 관측한 은하 NGC 4762의 이미지를 공개했다. .. Ⅲ.우리은하계 및 은하계 /68.허블로 본 은하 옆모습 2014.11.05
신성(新星) 폭발 모습 첫 포착 (네이처) 화려한 우주쇼…신성(新星) 폭발 모습 첫 포착 (네이처) 정보 --> 좀처럼 관측하기 힘든 신성의 폭발 모습이 사상 처음으로 포착됐다. 최근 국제 공동 천문학 연구팀은 신성이 핵융합해 폭발하는 생생한 모습을 사상 처음으로 관측하는데 성공했다는 연구 결과를 유명 과학저널 네이처(Natur.. Ⅲ.우리은하계 및 은하계 /67신성(新星) 폭발 모습 첫 포착 2014.11.01
100억년 전 은하들이 중력의 영향으로 서로 모이는 초기 모습의 전형 ○100억년 전 은하들이 중력의 영향으로 서로 모이는 초기 모습의 전형 초기 우주에서 여러 은하들로 은하군을 형성하는 모습. (사진 출처=ESO) 수많은 은하들이 모여 있는 은하군은 중력에 의해 서로 묶여 있는 우주에서 가장 큰 물체다. 왜 은하들이 이처럼 군락을 이뤄 생겨났는지 그 원.. Ⅲ.우리은하계 및 은하계 /66.100억년 전 은하들 2014.10.22
태양보다 1만배 빛난 왜성 ○[과학을 읽다]태양보다 1만배 빛난 왜성…눈부시다 ▲60광년 떨어진 쌍성계에서 태양 플레어보다 1만배 강력한 플레어가 관측됐다.[사진제공=NASA] 나사, 쌍성계에서 태양 플레어보다 1만배 강력한 플레어 관측 "이 별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미항공우주국(NASA)의 스위프.. Ⅲ.우리은하계 및 은하계 /65.태양보다 1만배 빛난 왜성 2014.10.02